본문 바로가기

이슈/사회경제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마야유적 발견

기원전 1천 년

높이 10~15m, 길이 1.4km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규모가 큰 마야문명 유적이 발견됐다

더 놀라운 것은 이것이 명령이 아닌 사람들의 자발적인 의사로 세웠는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미국 애리조나대 이노마타 다케시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항공 라이다 탐색을 통해 이 같은 인공 고원으로 이루어진 마야문명 유적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밝혔다.

항공 라이다 탐색은 항공기에서 지상으로 레이저를 쏴 반사돼 오는 빛을 분석해 지표면 형태를 파악하는 탐색법이다.

폐허가 된 마야문명이나 잉카문명 등 고대 유적은 대부분 숲으로 변했거나 개발돼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이 같은 항공 탐사법이 활용된다.

이 지역은 현재 사람이 살고 있지만 유적이 인공 고원으로 평평하고 거대해 알아채지 못했던 것이다.

이노마타 교수는 "멕시코 정부가 만든 저해상도 라이다 자료에서 거대한 평원 형태를 발견하고, 고해상도 라이다 탐사를 통해 큰 건물 등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유적에는 9개의 넓은 둑길 구조물을 갖추고 있어 규모가 마야 역사상 가장 큰 인공 고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유적지 발견 후 현장 발굴 등을 통해 확보한 숯 등 표본 69개를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법으로 분석해 유적 건설 시기를 밝혀냈다.

건설시기는 기원전 1천~800년으로 추정돼 마야유적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발견된 마야유적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과테말라 세이발 유적지로 기원전 950년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이한 점은 유적의 규모가 크고 이전 시대의 문명과 유사한 점이 많은데도 거대한 머리 조각상 같은 유물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강력한 통치자나 엘리트 계층 없이 구성원들이 공동작업으로 유적이 건설됐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당시 사회적 불평등이 크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노마타 교수는 "이 유적에서 강력한 통치자나 엘리트 계층이 있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런 거대한 공사를 하는데 꼭 잘 조직된 정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람들이 협력하면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마야문명 지도